SOOP / 콘텐츠 관련주 / 네이버 치지직 에 밀린 SOOP

2024. 12. 17. 12:107080기술창고

반응형

 

 

 

SOOP과 네이버 '치지직' 경쟁 상황 정리

1. 치지직 성장과 SOOP 주가 하락

  • 치지직 급성장: 출시 1년 만에 SOOP을 제치고 국내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월간 이용자 수(MAU) 1위 등극.
    • 11월 MAU: 치지직 242만, SOOP 240만
  • SOOP 주가 하락: 최근 6거래일간 8% 이상 하락. 전날 기준 9만8200원(-4.57%).
  • 치지직 전략:
    • 다양한 게임 콘텐츠 제공 (LoL, 발로란트 등)
    • e스포츠 대회 콘텐츠 확보 (2024 리그 오브 레전드 케스파컵 중계권 단독)
    • 네이버 서비스 결합 (숏폼, 네이버페이 등)

2. SOOP의 대응 전략

  • 창업주 복귀: 서수길 대표가 경영 일선에 복귀하며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.
  • 리브랜딩: 10월에 기존 아프리카TV → SOOP으로 사명 변경, UX/UI 개선.
  • 글로벌 확장:
    • 동남아 시장 공략 (태국, 베트남 중심)
    • 글로벌사업부문장에 최영우 선임

3. 증권가 분석

  • 삼성증권: ARPU 상승과 콘텐츠 혁신으로 매출·이익 안정적 성장 기대.
  • 신한투자증권: 국내 두 자릿대 성장 가능, 글로벌 e스포츠 트래픽 상승 예상.
  • 실적 전망 (에프엔가이드):
    • 2023년 매출: 4302억원(+23.8%), 영업이익: 1171억원(+29.7%)
    • 2024년 매출: 4786억원(+11.2%), 영업이익: 1366억원(+16.6%)

SOOP은 국내 사업의 기반을 다지면서 글로벌 확장을 통해 반격을 꾀하고 있음.

반응형